반응형 콘텐츠14 ‘코드 네버’ 세대가 온다.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코드 네버’ 세대가 온다. 19. Apr. 2025 모르던 일은 아니지만, 미국 리서치 기관들이 케이블TV 이용자 감소에 대한 레포팅 결과를 보면 심각하다. 22년에 일명 ‘코드 커팅(Cord-Cutting)’이라고 부르는 케이블TV 해지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어 미국 가구의 약 절반만 케이블TV를 이용하고 있다고 난리가 났지만, 불과 3년이 지난 지금 올해 연말 이용 가구의 비율은 2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일명 ‘코드 네버(Cord-Never)’라고 불리는 케이블TV 가입 경험이 없는 세대이다. 신규 가입자가 없고, 기존 가입자가 이탈하면서, 코드 네버 세대가 방송의 주요 소비자가 되면, 전통적인 TV 방송은 대중 매체로서의 영향.. 2025. 4. 22. 인공지능은 오마주와 패러디를 할 수 없다.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인공지능은 오마주와 패러디를 할 수 없다. 13. Apr. 2025 최근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브리풍’ 이미지로 변경한 사진을 개인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개인에게는 유행을 따라 한 것이고, 인공지능이 만들어준 이미지에서 재미를 느낄 수도 있다. 그리고 잠시의 유행일 수도 있다. 그러나 창작자의 입장은 다를 수 있다. 이미 과거에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인공지능이 만든 결과물은 창작자의 고통을 모르기 때문에 자신의 작품에는 절대 사용하지 않겠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인공지능을 창작 활동에 이용하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다. 그러나 남의 창작물을 이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예전 칼럼에서 인터넷에서 본 “원작을 알면 재미있는 것은 패러디, 원작을 알.. 2025. 4. 14.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보는 우리 사회 시스템의 견고함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보는 우리 사회 시스템의 견고함 05. Apr. 2025 지난 4월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가 있었다. 2024년 12월 3일 불법 쿠데타 이후 약 4개월이 걸렸다. 약 4개월간의 시간은 무척 힘든 시간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했고, 불면증을 겪는 사람도 있었다. 구속되었던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석방 소식에는 울분을 토하는 사람도 있었고, 선고일의 공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헌법재판소를 비난하는 사람도 많았다. 불필요해 보이는 많은 절차와 과정을 보면서 화내는 사람도 많았다. 다른 나라였으면 12월 3일 비상 계엄령이 실패했을 때, 이미 즉결 사형으로 끝났을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많은 사람이 시스템은 효율을 위한 것으로.. 2025. 4. 7. 참신함과 새로움, 차별화는 피곤하다.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참신함과 새로움, 차별화는 피곤하다. 09. Sep. 2024 얼마 전 전시회에 갔다. 전시회 안내용 디지털 패널에 에러 경고창이 표시되어 있었다. 아무 생각 없이 패널의 경고 창 표시위에 X버턴을 눌렀다. 반응이 없는 화면을 보면서 어플리케이션이 멈췄다고 생각했다. 약간의 정적이 흐른 후에 터치 스크린이 아니라는 생각이 났다. 일상 생활에서 터치 스크린이 익숙해진 탓에 순간 착각한 것이다. 일상의 많은 것은 익숙함을 기반으로 움직인다. 우리 뇌는 기본적으로 게으르다. 새로운 것을 습득하는 것은 고사하고, 다른 부분을 인지하는 것도 노력이 필요하다. 농구공을 주고 받는 영상 가운데 고릴라 옷을 입은 사람이 지나가도 잘 인지 못하는 유명한 실험의 결과도 이런 이유이다. 다.. 2024. 9. 9. 콘텐츠 제작자의 욕심, 리얼리티의 함정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 콘텐츠 제작자의 욕심, 리얼리티의 함정 07. Aug. 2024 나는 약 20년 정도 콘솔 게임 사용자 동호회 활동을 하고 있다. 처음 시작할 때 10대~20대 중심이었던 이 모임은 이제 30대~40대 아저씨들의 넋두리 모임으로 모임의 성격이 조금 변질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가끔 모여 맥주 한잔과 편하게 게임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무척 소중한 모임이다. 이 모임에서 이야기하던 중 영화 속 형사의 모습에 관한 이야기가 주제가 된 적이 있다. 지금까지 한국 영화에는 많은 형사의 모습이 등장했다. 오래된 영화로는 ‘투캅스’의 안성기, 박중훈 배우부터 최근 ‘범죄도시’의 마동석 배우까지 다양한 형사의 모습이 있다. 이 중 실제 형사의 모습에 가장 근접한 캐릭터는 어떤 캐릭터인.. 2024. 8. 7. 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화적 다양성 수용 필요성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화적 다양성 수용 필요성 06. Aug. 2024 최근 서브 컬쳐 게임을 제작하는 트랜드를 보면서 조금은 시대가 변화했음을 느낀다. 불과 10여 년 전에는 삼국지 캐릭터를 여성화했다는 이유만으로 다양한 비난을 감수해야 했던 시절이 있었다. 삼국지 캐릭터의 여성화는 이제 뉴스 소재도 되지 않지만, 10여 년 전에도 일본에서 관련 시리즈가 나온 것이 손가락으로 셀 수 없을 정도였던 것을 생각하면, 분명 이런 부분에서 우리가 늦은 것은 사실이다. 보통 우리는 일본이라는 나라를 획일화된 이지메의 나라로 보는 시선이 강하지만, 사실 문화적 다양성과 재해석, 혹은 변형, 확대에 대한 거부감을 고려하면, 이런 면에서 우리가 더 이지메가 심한 나라라는 생각.. 2024. 8. 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