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

때로는 졸속이 필요하다.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때로는 졸속이 필요하다. 23. Apr. 2025 우리는 졸속이라는 단어를 보통 부정적 의미로 사용한다.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아도 일을 지나치게 서둘러 어설프고 서투른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보통 서투르게 급하게 진행하여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 붙여서 사용하고 있다. 졸속 행정, 졸속 입법, 졸속 처리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졸속은 손자병법에 나온 말로 병문졸속에서 병문이 사라지고 졸속으로 줄여서 사용하는 것이다. 전쟁은 빠르게 끝날수록 좋다. 전쟁에는 많은 재화가 필요하고, 전쟁이 길어지면, 승자와 패자 모두에게 다양한 피해를 준다. 따라서 서툴러도 빠르게 결론을 내고, 그 피해를 수습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원래 졸속은 더 나은 승리를 .. 2025. 4. 24.
데이터의 독점은 누가 하고 있는가?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데이터의 독점은 누가 하고 있는가? 29. Aug. 2018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구굴, 페이스북 등 글로벌 인터넷 기업의 데이터 독점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개발에 착수했다는 기사를 봤다. 또한 이 기사에는 구글이 안드로이드 제조사에 검색 엔진과 브라우저를 탑재하도록 강요했다는 혐의로 43억4천만 유로의 과징금을 받았다며, 글로벌 인터넷 기업과 국내 인터넷 기업 간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기 위한 사전 절차로 이번 정책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필자의 식견이 짧아서인지 이 기사의 내용이 납득되지 않아 해당 내용을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독점의 정의는 하나의 사람이나 단체만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장을 말한다. 그리고 소수의 단체만 상.. 2025. 4. 23.
‘코드 네버’ 세대가 온다.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코드 네버’ 세대가 온다. 19. Apr. 2025 모르던 일은 아니지만, 미국 리서치 기관들이 케이블TV 이용자 감소에 대한 레포팅 결과를 보면 심각하다. 22년에 일명 ‘코드 커팅(Cord-Cutting)’이라고 부르는 케이블TV 해지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어 미국 가구의 약 절반만 케이블TV를 이용하고 있다고 난리가 났지만, 불과 3년이 지난 지금 올해 연말 이용 가구의 비율은 2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일명 ‘코드 네버(Cord-Never)’라고 불리는 케이블TV 가입 경험이 없는 세대이다. 신규 가입자가 없고, 기존 가입자가 이탈하면서, 코드 네버 세대가 방송의 주요 소비자가 되면, 전통적인 TV 방송은 대중 매체로서의 영향.. 2025. 4. 22.
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가? Part 03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가? Part 03 15. Aug. 2018  지난 칼럼에서 망 중립성의 사전적 의미와 네트워크 망의 공공재적인 성격, 제로레이팅의 문제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았다. 이 번 칼럼에서는 마지막으로 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거의 이야기를 해보자. 2012년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모바일 인터넷전화)서비스가 시작될 무렵 각 통신사들은 강력하게 반대했다. 해당 서비스는 과도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신사의 수익구조를 악화시키고, 신규 시설 투자가 어려운 상황을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전문가라고 언론에 표시되는 익명의 사람들이 망중립성이 폐지되면 장기.. 2025. 4. 21.
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가? Part 02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가? Part 02 01. Aug. 2018  지난 칼럼에서 망 중립성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고, 망중립성에 대한 2가지 주장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았다. 네트워크 망을 제공하는 사업자 입장에서 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양에 따라 차이나는 요금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는 주장과 망을 이용하는 콘텐츠 사업자 입장에서 망중립성은 기본권리이며, 망중립성이 없다면 디지털콘텐츠 산업은 존립 기반이 위태로워진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그럼 각 주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첫째, 네트워크 망이 공공재이냐 사유재이냐의 문제를 먼저 살펴보자. 이 문제는 가장 우선 대체 가능성을 판단해봐야 한다. 이미 우리는 인터넷 없이 .. 2025. 4. 18.
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가? Part 01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가? Part 01 12. Jul. 2018  작년 2017년 12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망중립성 폐지를 결정하였다. 그와 관련해서 최근 국내에서도 망중립성 폐지에 대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 문제는 여러 가지 의미에서 개인의 생각을 공개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주제이다. 콘텐츠 산업의 다양한 분야 사람과 접하는 필자 주변에도 이 문제에 대해서 필자와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이야기하기 어려운 필자의 생각을 지면을 통해 이야기하여 필자의 생각을 좀 더 알리고, 필자의 의견에 동조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도록 노력해 보고자 한다.  먼저 망중립성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모든 네트워크 .. 2025.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