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콘텐츠14 숏폼의 유행. 전통 콘텐츠 산업의 변화가 필요한 시기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숏폼의 유행. 전통 콘텐츠 산업의 변화가 필요한 시기 10. Jun. 2024 최근 짧은 러닝 타임의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다. 숏폼 콘텐츠라는 이름으로 5분짜리 영상이 유행하더니 어느 사이 5분도 길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러닝 타임을 기준으로 1시간 이상의 러닝 타임을 가진 콘텐츠를 통상 롱폼, 30분 내외를 미드폼, 15분 미만을 숏폼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어느 순간 5분 미만의 숏폼 콘텐츠가 주류가 되더니 최근에는 1분 미만 콘텐츠가 대세가 되었다. 텍스트 콘텐츠도 마찬가지이다. 한 권 단위로 나오는 소설은 보기가 힘들고, 짧은 연재 형식의 웹소설이 유행하면서 1회 분량이 10페이지 내외 수준으로 줄었다. 최근에는 더 짧은 초단편 소설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초.. 2024. 6. 10. 망중립성은 지켜져야 한다.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망중립성은 지켜져야 한다. 19. May. 2024 최근 구글이 부담해야 하는 망 이용료가 국내 매출의 2%에 불과하다는 발표가 있었다. 망 이용료로 추정되는 금액은 약 2천억 원이고, 그 금액은 구글의 국내 추정 매출 약 10조 원의 2% 정도라는 내용이었다. 구글의 높은 매출을 고려하면 부담스러운 금액은 아니라는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주장이었고, 이는 곧 기사화되었다. SK텔레콤의 2023년 매출은 약 17조 6천억이다. 영업이익은 약 1조 7천억이다. KT의 매출은 약 26조 3천억이고, 영업이익은 약 1조 6천억이다. LG유플러스의 매출은 약 14조 3천억이고, 영업이익은 약 1조이다. 국내 통신 3사의 매출은 약 58조에 영업이익이 4조가 넘는다. 위.. 2024. 5. 19.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