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7 그렇게 기레기가 된다.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그렇게 기레기가 된다. 27. Sep. 2018. 오를 때는 빠르게, 내릴 때는 천천히....... 많은 물건의 가격에서 우리가 흔하게 느끼는 현상이다. 기업의 이익이 되는 부분은 해당 명분을 반영하여 빠르게 반영하고, 이익이 되지 않는 부분은 한번 내린 가격은 조정이 어렵다는 등등의 핑계를 대면서 최대한 천천히 반영한다. 이런 현상은 지극히 일반적인 현상이며, 그것이 올바르다고 인정할 수는 없으나, 기업의 입장을 이해는 할 수 있다. 최근 정부의 다양한 경제 정책이 다양한 언론을 통해 비판받고 있다. 미국은 대기업의 실적이 늘고, 구인난을 겪고 있는데 우리는 역행하고 있다고 강변하는 수많은 기사를 봤다. 그 수많은 언론들이 불과 몇 년 전에는 낙수효과를 찬.. 2025. 4. 28. 게임과 은산분리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게임과 은산분리 12. Sep. 2018 최근 본지의 김상현 편집국장님이 쓴 “은산분리 완화와 게임”이라는 주제의 칼럼을 읽었다. 은산분리 규제완화로 넷마블, 넥슨 같은 곳에서 인터넷전문은행을 운영하게 되고, 그렇게 확보한 자금으로 게임 산업 투자가 활성화되었으면 좋겠다는 희망 가득한 주제의 글이었다. 필자 역시 국내 게임 산업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희망에는 100% 공감한다. 그러나 그 전제인 은산분리 완화 자체에는 반대하는 입장이라 그 부분에 대해서 이번 칼럼에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먼저 용어에 대해서 살펴보자. 은산분리는 말은 은행 자본과 산업 자본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규제를 말한다. 기업이 은행을 소유할 수 없다는 말과 같은 뜻이다. 유사.. 2025. 4. 25. 때로는 졸속이 필요하다.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때로는 졸속이 필요하다. 23. Apr. 2025 우리는 졸속이라는 단어를 보통 부정적 의미로 사용한다.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아도 일을 지나치게 서둘러 어설프고 서투른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보통 서투르게 급하게 진행하여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 붙여서 사용하고 있다. 졸속 행정, 졸속 입법, 졸속 처리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졸속은 손자병법에 나온 말로 병문졸속에서 병문이 사라지고 졸속으로 줄여서 사용하는 것이다. 전쟁은 빠르게 끝날수록 좋다. 전쟁에는 많은 재화가 필요하고, 전쟁이 길어지면, 승자와 패자 모두에게 다양한 피해를 준다. 따라서 서툴러도 빠르게 결론을 내고, 그 피해를 수습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원래 졸속은 더 나은 승리를 .. 2025. 4. 24. 데이터의 독점은 누가 하고 있는가?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데이터의 독점은 누가 하고 있는가? 29. Aug. 2018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구굴, 페이스북 등 글로벌 인터넷 기업의 데이터 독점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개발에 착수했다는 기사를 봤다. 또한 이 기사에는 구글이 안드로이드 제조사에 검색 엔진과 브라우저를 탑재하도록 강요했다는 혐의로 43억4천만 유로의 과징금을 받았다며, 글로벌 인터넷 기업과 국내 인터넷 기업 간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기 위한 사전 절차로 이번 정책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필자의 식견이 짧아서인지 이 기사의 내용이 납득되지 않아 해당 내용을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독점의 정의는 하나의 사람이나 단체만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장을 말한다. 그리고 소수의 단체만 상.. 2025. 4. 23. ‘코드 네버’ 세대가 온다. 박형택의 게임, 콘텐츠 그리고 투자‘코드 네버’ 세대가 온다. 19. Apr. 2025 모르던 일은 아니지만, 미국 리서치 기관들이 케이블TV 이용자 감소에 대한 레포팅 결과를 보면 심각하다. 22년에 일명 ‘코드 커팅(Cord-Cutting)’이라고 부르는 케이블TV 해지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어 미국 가구의 약 절반만 케이블TV를 이용하고 있다고 난리가 났지만, 불과 3년이 지난 지금 올해 연말 이용 가구의 비율은 2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일명 ‘코드 네버(Cord-Never)’라고 불리는 케이블TV 가입 경험이 없는 세대이다. 신규 가입자가 없고, 기존 가입자가 이탈하면서, 코드 네버 세대가 방송의 주요 소비자가 되면, 전통적인 TV 방송은 대중 매체로서의 영향.. 2025. 4. 22. 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가? Part 03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가? Part 03 15. Aug. 2018 지난 칼럼에서 망 중립성의 사전적 의미와 네트워크 망의 공공재적인 성격, 제로레이팅의 문제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았다. 이 번 칼럼에서는 마지막으로 망중립성은 지켜야만 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거의 이야기를 해보자. 2012년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모바일 인터넷전화)서비스가 시작될 무렵 각 통신사들은 강력하게 반대했다. 해당 서비스는 과도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신사의 수익구조를 악화시키고, 신규 시설 투자가 어려운 상황을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전문가라고 언론에 표시되는 익명의 사람들이 망중립성이 폐지되면 장기.. 2025. 4. 21. 이전 1 2 3 4 ··· 28 다음 반응형